HOME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씨앗은행

검색

곤충자원관

곤충사육정보

  • 사육정보
  • 기술정보
Allomyrina / dichotoma / 장수풍뎅이
분류정보
상세정보
학명 Allomyrina dichotoma(Linnaeus)
목명 Coleoptera[딱정벌레목] 과명 Dynastidae[장수풍뎅이과]
국명 장수풍뎅이 별칭 독각선(獨角仙)
이미지
  • mp/MP_ZO1CQ0001_01.JPG
  • mp/MP_ZO1CQ0001_02.JPG
  • mp/MP_ZO1CQ0001_03.JPG
  • mp/MP_ZO1CQ0001_04.JPG
  • mp/MP_ZO1CQ0001_05.JPG
  • mp/MP_ZO1CQ0001_06.JPG
  • mp/MP_ZO1CQ0001_07.JPG
  • mp/MP_ZO1CQ0001_08.JPG
  • mp/MP_ZO1CQ0001_09.JPG
형태(성충) 몸길이는 30-55mm로 우리나라의 풍뎅이 중에서 가장 큰 종이다. 몸은 적갈색내지 흑갈색으로 매우 두껍고 뚱뚱하다. 수컷은 광택이 있고, 머리에는 굵고 긴 뿔이 있는데 그 끝은 사슴뿔처럼 갈라졌으며, 앞가슴등판에도 약간 짧고 끝이 날카로우며 앞쪽으로 향한 뿔이 있다. 암컷은 보다 짙은 색이며, 등쪽에는 아주 짧고 연한 털이 덮여서 광택이 보이지 않으며, 뿔은 없다.
국내 분포지 전국
국외 분포지 중국, 일본
참고문헌 김진일,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III. 딱정벌레목, 고려대학교 곤충연구소,   김진일, 이원규, 1999, 쉽게 찾는 우리 곤충, 현암사,   김창환, 1978, 한국곤충분포도감 제2편 딱정벌레류, 고려대학교 출판부,   남상호, 1996, 원색도감 한국의 곤충, 교학사,   신유항, 1993, 원색한국곤충도감, 아카데미서적,  
전문사육 DB [알]
01
연중사육 우리나라에서 장수풍뎅이 성충은 6월말에서 9월초까지 출현하는 야행성 곤충으로 참나무의 수액을 흡즙한다. 우화(羽化) 후 1주일 전후에 교미를 하며+G3 교+G3미한지 10일정도 후부터 산란을 시작한다. 교미를 마친 지 2일 후에 암컷은 수컷과 분리하여 약 60~65% 정도의 수분을 함유한 부엽토를 담은 사육상자에 넣은후 안정을 취하게 하면 일정기간이 지나면 산란을 하게 된다. 암컷은 부엽토 속으로 파고 들어가 알의 크기보다 조금 큰 공간을 만들어 하나씩 산란을 하며, 대량 20~100개 정도 알을 낳는다. 보다 많은 알을 받으려면 산란이 시작된지 1주일 간격으로 장수풍뎅이를 새로운 용기로 이동시켜주면 기존의 알과 부화된 유충을 보호하면서 안전하게 더 많은 알을 얻을 수 있다. 갓 낳은 알의 길이는 3mm, 나비는 2mm 정도의 타원형이다. 부화가 가까움에 따라 알의 껍질은 단단해지며 크기도 약 5mm정도까지 커지면서 원형에 가깝게 되며, 노란빛을 띠고 알에 까만 턱이 보이기 시작한다. 한편, 사슴벌레는 장수풍뎅이보다 사육이 다소 까다로운데 종에 따라 다르지만 자연에서 우화한 사슴벌레는 몸이 굳어지고 성충으로 그 속에서 겨울을 난다. 따라서 사육해서 우화한 사슴벌레는 일정온도(약 25℃)에서 일정기간이 지나야 활동하기 시작하며 교미를 하고 산란을 시작한다. 암컷성충은 죽은 참나무 중 일정한 수분이 있고 갈색빛을 띤 나무에 주로 산란을 하기 때문에 알을 받기 위해서는 잘 부숙된 참나무가 필요하며 적당한 수분을 함유한 나무이어야 한다. 산란목이 너무 건조하면 물에 담그어 수분을 함유하게 한다. 사육용기에 산란목을 넣은 후 참나무톱밥을 산란목이 2/3정도 잠기도록 한 후 사슴벌레를 넣는다. 암컷이 나무를 갉기 시작하면 산란의 시작을 의미한다. 알은 약 2주후에 부화되며 갓 깨어난 애벌레는 머리가 희고 말랑말랑하며 몸집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이다.
전문사육 DB [애벌레]
02
사육용기 사육용기는 30×30×30cm의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면 좋으며 유충의 밀도는 1~2령 때에는 20~30마리, 3령 때에는 5~7마리가 적당하다. 1~2령 때에는 먹이 소모가 많지 않으나 종령이 되면 먹이 섭취량과 몸의 크기가 급격히 증가한다.
먹이 장수풍뎅이 사육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참나무 수액을 즐겨 먹으나 구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곤충젤리나, 바나나등 단 성분의 과일등을 이용해서 사육이 가능합니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참나무 발효톱밥이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균사병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발효톱밥(매트)의 수분량 조절은 그 양이 많아서 통상의 분무기만으로는 관리 하기 어려운 면이 있기 때문에 분무기 대신에 작은 용기에 직접 물을 떠서 골고루 뿌려주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입니다.
온도조절 25℃, 16L:9D의 조건에서 사육
연중사육 장수풍뎅이의 유충은 약 25℃의 온도와 65%의 습도로 사육하면 성장이 양호하며 온도가 높을수록(30℃이하) 생육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갓 부화한 유충은 몸의 길이가 약 10mm 정도이며 머리가 희고 말랑 말랑 하고 몸이 단단해질 때까지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다가 머리가 갈색으로 변하고 몸이 단단해지면 알껍질을 갉아먹는다. 유충 중 1령은 특히 조심해야 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부엽토가 너무 건조하거나 습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육용기는 30×30×30cm의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면 좋으며 유충의 밀도는 1~2령 때에는 20~30마리, 3령 때에는 5~7마리가 적당하다. 1~2령 때에는 먹이 소모가 많지 않으나 종령이 되면 먹이 섭취량과 몸의 크기가 급격히 증가한다. 유충의 크기는 1령시 체장이 10~20mm, 2령 20~30mm, 3령 30~80mm 정도로 크기가 달라진다. 야외에서 노숙유충상태로 땅 속에서 월동하여 이듬해 6월 이후에 번데기가 된다. 한편 사슴벌레는 나무줄기 속에 알을 낳기 때문에 정확히 산란일을 알기 힘들다. 따라서 유충의 성장 상태를 알기도 힘들며 유충 채취시기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1년생의 사슴벌레는 산란을 하고 얼마 살지 못하고 죽기 때문에 성충이 죽은 후 나무를 부수어서 유충을 채취한 후 잘 발효시킨 톱밥에 개체사육을 하면 된다.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1령 시기에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2령 정도가 되었을 때 유충을 채취하는 것이 좋다. 사슴벌레는 동족포식을 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같은 용기에 여러 마리를 함께 사육하면 안 된다. 다년생 사슴벌레는 산란목에 산란 흔적이 생긴 후 약 2~3주 정도에 산란목을 교체시킨 후 1개월 정도 지난 다음 나무를 부수어서 유충을 채취하는 것이 좋다. 유충과 성충을 같이 사육하면 성충이 유충을 잡아먹는 경우도 생기기 때문에 반드시 주기적으로 산란목을 교체하여 사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애사슴벌레, 홍다리사슴벌레, 다우리아사슴벌레 등의 소형종 사슴벌레 유충들은 산란후 상온을 유지시켜 주면 두 달 이내에 종령으로 되며 넓적사슴벌레, 왕사슴벌레 유충들은 3개월 이상이 지나야 종령이 된다.
전문사육 DB [번데기]
03
연중사육 다 자란 유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란색으로 변화하며 번데기가 될 방을 만든다. 번데기 방은 길쭉한 타원형의 계란 형태를 이루며, 유충은 다시 노란색에서 갈색으로 변하고 활동이 정지된다. 번데기는 약1주일 이후부터 머리의 뒤쪽이 갈라지면서 허물을 벗기 시작한다. 허물을 벗은 직후에는 흰색을 띠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짙은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몸이 조금씩 경화된다. 첫 허물을 벗은 후 약 2주후 정도에 다리 부분과 가슴 부분이 어두운 갈색으로 변하고 마지막 허물을 벗으면서 우화가 진행된다. 우화시 앞날개와 뒷날개가 펴지고 흰색에서 노란색, 옅은갈색으로 변화되면서 경화되어 완전한 성충으로 된다. 몸이 완전히 굳어질 때 까지 번데기 방에서 몇 일간의 휴식을 취한 후 밖으로 나오게 된다.
전문사육 DB [성충]
04
먹이 자연 상태에서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의 성충은 참나무와 기타 활엽수의 수액으로 잔털이 많은 솔처럼 생긴 입으로 핥아먹는다. 단백질과 당이 풍부한 바나나와 계란의 흰자를 잘 섞어 주면 산란수도 많아지고 알의 크기도 큰 건강한 알을 낳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연중사육 자연 상태에서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의 성충은 참나무와 기타 활엽수의 수액으로 잔털이 많은 솔처럼 생긴 입으로 핥아먹는다. 성충의 활동시간은 해진 이후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활동하다가 동이 트기 전에 낙엽이나 땅속으로 들어가 휴식한다. 사육할 때 성충이 우화하여 부엽토 표면으로 나올 때까지는 어떠한 물리적자극도 주어서는 안 된다. 우화후 지표면으로 나왔을 때 많은 알을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미와 영양분이 충분한 먹이를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암수비율은 2~3 :1 정도가 적당하다. 성충의 먹이로는 일반적으로 시판중인 젤리포를 먹여도 무난하나
짝짓기관리 우화후 지표면으로 나왔을 때 많은 알을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미와 영양분이 충분한 먹이를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암수비율은 2~3 :1 정도가 적당하다. 성충의 먹이로는 일반적으로 시판중인 젤리포를 먹여도 무난하나
뒤로